작성자: 심산 등록일: 2009-05-25 22:48:49

댓글

50

조회 수

4663

한 시대의 종말을 애도함

그가 마을 뒷산 절벽 아래로 몸을 던졌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나는 한 시대가 끝났음을 알았다. 그는 바로 우리 시대였다. 누구도 그처럼 치열하게 자기를 시대 속에 던져 시대와 하나 된 삶을 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가 보여준 숭고, 그가 넘지 못한 한계 그리고 비극적 종말이 모두 그 개인의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숭고였으며, 우리 자신의 한계가 아니었던가. 그리고 그의 이 비극적인 종말은 시대가 길을 잃고 낭떠러지에서 추락한 것이 아닌가?

1979년 부마항쟁으로 장전되고, 80년 광주항쟁을 통해 발사된 시대, 모든 불의한 것들에 대한 광기 어린 분노가 총알처럼 아스팔트 위를 질주하던 시대가 불러낸 사나이가 바로 노무현이었다. 그는 광주항쟁 이듬해 이른바 부림 사건으로 체포되고 고문당해 만신창이가 된 부산의 대학생들을 변호사로서 만나면서 처음 역사에 발을 들여놓았다. 불의에 대한 끓어오르는 분노, 타인의 고통에 대한 순수한 공감이 아무 걱정 없던 세무 전문 변호사를 역사의 가시밭길로 불러내었던 것이다.

그 뒤 그는 역사의 부름에 언제나 자기의 전 존재를 걸고 치열하게 응답했던 소수의 사람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 치열함이 우리를 감동시켰고, 그 감동이 그를 끝내 이 나라의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까지 밀어올렸다. 그것은 그의 명예이기 이전에 한 시대가 보여줄 수 있는 치솟은 숭고였으니, 그는 우리의 자랑이었다.

그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을 때, 나는 역사가 이렇게 한 걸음 더 진보한다고 믿을 수 있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5년 뒤 그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짐을 국민에게 떠넘기고 청와대를 떠날 때, 내겐 더 이상 그에게 실망하고 분노할 기력조차 남아 있지 않았다. 다만 그가 고향마을에 큰 집을 지어 이사하는 것을 보고, 잠깐 그 많은 공사비가 어디서 나왔을까 궁금했을 뿐.

그런데 그가 고향 뒷산 절벽 아래로 몸을 던졌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나는 왜 이렇게 내가 살아 있는 것이 부끄러워지는가. 그는 자기를 던졌는데 나는 왜 구차하게 살아 있는가? 그의 시대는 나의 시대이기도 했으며, 그의 실패는 나의 실패이기도 했는데, 왜 그만 가고, 나는 여기 남아 있는가.

내가 그에게 동의하든 하지 않든, 그는 치열했다. 이를테면 그가 권력이 청와대에서 시장으로 넘어갔다고 말했을 때, 나는 깊이 좌절하고 실망했으나, 생각하면 그것은 그 개인의 한계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한계였다. 자본이 절대 권력이 된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그 한계 앞에서 변절하거나, 세치 혀로 한계를 넘어갈 때, 그는 자기 방식으로 시대의 한계와 끊임없이 부딪혔고, 결국 좌절했다. 그가 곧 한 시대였으니 시대의 좌절이 그에게 치명적 타격으로 돌아온 것은 조금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보라, 한때 우리의 사랑을 받았던 소설가가 다른 것도 아니고 광주를 팔아 노벨상을 구걸하고 있을 때, 노무현은 모욕과 멸시 속에서 구차하고 더럽게 살기보다 깨끗이 파멸을 선택함으로써, 우리 시대가 비록 실패한 시대이기는 했으나, 적어도 비겁한 시대가 아니었음을 온몸으로 증명했다.

우리 시대가 오월 광주의 죽음에서 시작되었듯이, 모든 새로운 시대는 죽음 위에서 잉태된다. 죽지 않아야 할 사람이 죽었으니 머지않아 운명의 여신은 그 핏값을 받기 위해 우리를 찾아올 것이다. 그리고 그를 죽음으로 몰아간 자들이 그에게 적용했던 그 엄격한 도덕적 잣대로 그들을 그리고 우리를 심판할 것이다. 그 심판을 피하려면 우리 자신이 정화되어야 할 것이니, 역사는 그렇게 쇄신되는 것이다.

뜨겁게 사랑했으므로 내가 미워했던 마음의 벗이여, 잘 가오. 그대 영전에 오래 참았던 울음 우노니, 그대 나 대신 죽어, 내 마음에 영원히 살아 있으리.

김상봉/전남대 철학과 교수
[한겨레] 2009년 5월 24일

댓글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11 2024년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4-03-31 163
510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개시 file 심산 2023-04-02 171
509 1997년작 [비트]를 다시 보다 + 3 file 심산 2024-03-08 193
508 1999년작 [태양은 없다]를 다시 보다 + 1 file 심산 2024-03-16 194
507 2023년 9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08-06 195
506 2024년 1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12-03 235
505 희망 없는 새해에도 삶은 계속됩니다 file 심산 2023-01-11 243
504 [비트] [태양은 없다] 2024년 3월 재개봉 확정 + 4 file 심산 2024-02-08 318
503 2022년이 저물어가고 2023년이 다가옵니다 + 1 file 심산 2022-12-02 326
502 심산스쿨 시나리오워크숍 수강신청 안내 + 1 file 심산 2022-09-18 428
501 심산스쿨 심산반 50기 개강을 자축하며 + 5 file 심산 2023-05-15 454
500 올여름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 2 file 심산 2022-05-08 512
499 베일에 싸인 신인작가 김정연을 만나다 + 4 file 심산 2023-09-01 556
498 차기 워크숍은 2022년 10월에 개강예정입니다 + 1 file 심산 2022-06-07 563
497 한국영화 반독과점 영대위 토론회 + 2 file 심산 2018-06-23 566
496 심산 출연 [세계테마기행] 방영 안내 + 10 file 심산 2023-06-29 571
495 새해에는 새해의 태양이 떠오를 테지요 file 심산 2019-12-31 577
494 한 해가 저물고 또 다른 해가 떠오르고 + 1 file 심산 2017-12-25 604
493 다음 워크숍은 2022년 1월 둘째주에 열립니다 + 1 file 심산 2021-10-18 615
492 올여름에는 [심산반 47기]만 진행합니다 + 1 file 심산 2021-07-10 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