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심산 등록일: 2007-06-23 22:15:08

댓글

10

조회 수

3390





[img1]

6월민주항쟁 20주년 기념 문학축전
2007년 6월 23일(토) 오후 5시-7시 서울 YWCA 대강당

며칠 전 한국문학평화포럼으로부터 뜻밖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6월민주항쟁 20주년 기념시집을 출간하려 하는데 제가 쓴 시를 게재해도 되겠느냐는 내용이었습니다. 그 전화를 받고나서 문득 아하, 내가 예전에 시를 쓴 적도 있었지, 하는 옛기억(?)을 되살렸습니다. 어떤 시를 게재할지는 듣지 않아도 능히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졸시 [바리케이트 안에서]였습니다.

이제 와 읽어보니 너무도 날 선 시여서 다소 생경하기도 하지만 나름대로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시입니다. 1987년 6월 10일 밤 명동성당 점거농성장의 "바리케이트 안에서" 쓰여 졌고, 같은 달 발간된 [민중문화운동연합]의 기관지에 실렸으며, 저의 처녀시집 [식민지 밤노래](1988)에도 실려 있는 시입니다. 저의 두 번째 장편소설 [사흘낮 사흘밤](1994)은 건대항쟁, 유월항쟁, 이한열장례식이라는 1980년대의 가장 격렬했던 세 번의 ‘사흘낮 사흘밤’을 다루고 있는데, [바리케이트 안에서]는 이 장편소설 안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소설 속에 잠깐 등장하는 무명의 청년시인이 바로 저였지요.

[img5]

오늘(2007년 6월 23일) 오후에 명동성당 바로 맞은 편에 위치해 있는 YWCA 대강당에서 [6월민주항쟁 20주년 기념 문학축전]이라는 것이 열렸습니다. 저는 영광스럽게도 민영, 김준태 등 원로급 대시인과 더불어 단상에 올라가 자신의 시를 낭송하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런 종류의 이른바 ‘문단 행사’에는 참으로 오랜만에 참가하는 것이어서 스스로 조금 어색한 느낌도 있었습니다만 나름대로 의미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혈기방장했던 20대의 청년시인이 이제는 세상사에 닳고 닳은 40대의 한량이 되어 새삼스럽게 지나온 세월을 되짚어 볼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행사장에서는 기념시집 [유월, 그것은 우리 운명의 시작이었다](화남, 2007)에 수록된 시를 주제로 최민화의 그림과 박용수의 사진이 한 데 어우러진 걸개그림전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두 분 모두 질풍노도의 80년대를 함께 보냈던 선배이자 어른이십니다. 제 발길을 가장 오래 붙잡아둔 것은 홍일선의 시 [나, 그간 채광석형 잊고 살았소]였습니다. 채광석, 그리운 이름입니다. 20대 중반의 한 세월을 함께 보낸 그는 내게 언제나 ‘목소리 큰 맏형’ 같은 존재였는데, 이제 와 돌이켜보니 겨우 서른 아홉 살에 세상을 떠났더군요. 그가 너무 일찍 간 것인지 제가 너무 오래 살고 있는 것인지...여하튼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더 상세한 이야기는 가슴 속에 담아두렵니다. 대신, 오랫만에 재발견(!)한 청년 시절의 시 [바리케이트 안에서]의 전문을 이곳에 올립니다. 지금 읽어봐도 잘 썼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올리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20년 전의 그 기억을 다시 되새겨보고 싶을 뿐입니다. 시 본문 중에 의도적으로 인용된 구절이 있어서 이곳에 밝힙니다. “外國商館의 늙은 머슴이/南朝鮮政府의 龍床을 어루만지며/꿈꾸는 榮華를 위해서가 아니라/또다시 노예가 되려는/동포의 위태로운 자유를 위하여"는 남로당 출신의 월북시인 임화가 1946년 6월 9일 집필한 시 [청년의 6월 10일로 가자]에서 따온 것입니다.

[img2]

바리케이트 안에서
-1987년 6월 10일 명동의 밤

심산

직격탄과 군화발과 곤봉에 무너져 가는
이 초라한 바리케이트의 밖은, 압제여
너희의 땅이다
너희의 역사다, 너희의 대통령 후보가
너희의 호텔에서 너희끼리 파티를 즐기고 헌법을 즐기고
너희의 선진국가가 너희의 정의사회를 구현한다

각목과 보도블럭과 화염병으로 지키는
이 처연한 바리케이트의 안은 그러나
외세여, 우리의 땅이다
너희가 비웃으며 짓밟아버린
그래, 차마 눈 못 감는 우리의 역사다
육시당한, 효수당한, 암매장당한
그래서 피 토하며 울부짖는 우리의 역사다

춥지만 배고프지만 무섭지만
너희는 모를 것이다
미치도록 사랑을 해본 적이 없는 너희는
이 기쁨, 죽었던 옛님과 몸 섞는
이 환장할 것 같은 기쁨을 모를 것이다

[img4]

님이여, 내 님이여, 가신 님이여
포위된 도청의 마지막
그 밤 새벽을 기다리다, 새벽을 만들다 쓰러져간
아아, 광주여, 내 님이여, 내 사랑이여
온몸뚱이 옭죄어오는 공포에 떨며
공포보다 선연한 분노에 치를 떨며
비로소 깨닫는다 님들의 절망과
절망보다 강인한 투혼, 그 투혼에 떠는
님들의 시신을 부둥켜 안고 몸서리치며
지지리도 못생긴 우리 역사를 만난다

外國商館의 늙은 머슴이
南朝鮮政府의 龍床을 어루만지며
꿈꾸는 榮華를 위해서가 아니라
또다시 노예가 되려는
동포의 위태로운 자유를 위하여
떨치고 일어선 오늘, 6월 10일
41년 전의 6월 10일을
또 그 20년 전의 6월 10일을
그 자랑스럽고 떳떳한 우리 역사를 만난다
만나 다시는 헤어지지 말자 몸부림친다

별마저 진압되어버린 캄캄한 이 밤
잠든 도시의 한복판에서 횃불을 들고 내뱉는
쉰 목청 마지막 안간힘의 절규에
사람들이 깨어나 달려오기 전에
새벽이 오기 전에
또다시 너희가
이 땅을 점령할 수도 있겠지만

똑똑히 보아두어라 외세여, 압제여
마치 갑오년의 기민행렬이 그랬듯이
너희의 땅에서 철거당한 사람들끼리 이렇게 밥을 나누며
마치 갑오년의 동학군들이 그랬듯이
핏발 선 두 눈을 흡뜨고 이렇게 돌을 던지며

우리는 우리의 땅에서 살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만들 것이다, 이렇게!

[img3]

댓글 '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11 2024년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4-03-31 163
510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개시 file 심산 2023-04-02 171
509 1997년작 [비트]를 다시 보다 + 3 file 심산 2024-03-08 192
508 1999년작 [태양은 없다]를 다시 보다 + 1 file 심산 2024-03-16 194
507 2023년 9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08-06 195
506 2024년 1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12-03 234
505 희망 없는 새해에도 삶은 계속됩니다 file 심산 2023-01-11 243
504 [비트] [태양은 없다] 2024년 3월 재개봉 확정 + 4 file 심산 2024-02-08 318
503 2022년이 저물어가고 2023년이 다가옵니다 + 1 file 심산 2022-12-02 326
502 심산스쿨 시나리오워크숍 수강신청 안내 + 1 file 심산 2022-09-18 428
501 심산스쿨 심산반 50기 개강을 자축하며 + 5 file 심산 2023-05-15 454
500 올여름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 2 file 심산 2022-05-08 511
499 베일에 싸인 신인작가 김정연을 만나다 + 4 file 심산 2023-09-01 556
498 차기 워크숍은 2022년 10월에 개강예정입니다 + 1 file 심산 2022-06-07 563
497 한국영화 반독과점 영대위 토론회 + 2 file 심산 2018-06-23 566
496 심산 출연 [세계테마기행] 방영 안내 + 10 file 심산 2023-06-29 570
495 새해에는 새해의 태양이 떠오를 테지요 file 심산 2019-12-31 577
494 한 해가 저물고 또 다른 해가 떠오르고 + 1 file 심산 2017-12-25 604
493 다음 워크숍은 2022년 1월 둘째주에 열립니다 + 1 file 심산 2021-10-18 615
492 올여름에는 [심산반 47기]만 진행합니다 + 1 file 심산 2021-07-10 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