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심산 등록일: 2007-09-09 06:49:57

댓글

40

조회 수

3883



[img1]

심산의 새로운 명함입니다
[마운틴북스]의 편집인으로 데뷔했습니다

제 명함을 새로 찍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세 개의 로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면의 와인잔과 얼굴 일러스트는 아시다시피 [심산의 와인예찬]의 일러스트를 맡고 있는 이은 님의 작품입니다. 뒷면의 [심산스쿨」 로고야 설명할 필요 없겠지요? 새롭게 추가된 것이 뒷면 아래쪽의 로고 [마운틴북스]입니다. 저는 얼마 전에 [마운틴북스]의 편집인으로 데뷔(!)했습니다.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사실은 아주 오래 전부터 계획했었던 일입니다.

[마운틴북스]는 상호에서 짐작하실 수 있듯 산악문학 전문출판사입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이런 종류의 출판을 계획해왔는데, 누구나 예견하듯 수익성이 별로 좋을 수가 없는 분야여서, 선뜻 제 계획에 찬동해주는 출판사를 만날 수 없었습니다. [마운틴북스]는 저의 계획에 기꺼이 투자해준 젊은 출판인 김인호 대표와 저의 합작품입니다. 김대표는 제게 수 차례에 걸쳐 발행인을 맡아달라고 부탁했지만 저는 끝끝내 그 자리를 거부했습니다. 대신 제가 원했던 것은 ‘편집인(editor)'이라는 직책이었습니다. 저는 편집인이라는 직함에 대단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발행인은 비즈니스를 해야 되지만 편집인은 좋은 책을 만들기만 하면 되거든요. 손익분기점 따위는 나 몰라라 하고 오직 좋은 산악 관련 책들을 내고 싶어 하는 저의 이기적인 꿈(?)에 결국엔 승복해준 김인호 대표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마운틴북스]의 첫작품이 며칠 전에 세상에 나왔습니다. 이용대의 역저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입니다. 무려 500 페이지에 달하는 두툼한 분량, 전면 올컬러의 멋진 산악사진들, 묵직한 하드커버! 그저 손에 들기만 해도 가슴이 묵지근해지는 게 아주 뿌듯합니다. 이 책은 ‘한국 최초의 세계등반사’입니다. 얼마나 팔릴지는 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것만은 알고 있습니다. “이런 책은 반드시 출간되어야 한다”는 것! 다행히 어제(2007년 9월 8일) [한겨레신문]은 한 면 모두를 이 책에 할애하여 장문의 서평을 실어주었습니다. 이 책이 흥행과 비평 양면에서 모두 성공한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못해도 괘념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은 훌륭한 저서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 책의 편집인이었다는 사실에 대하여 무한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의 엔딩크레딧(!)입니다. 제가 [마운틴북스]의 편집인이라는 사실은 무엇을 뜻할까요? 이런 종류의 책을 적어도 100권 이상 편집하여 출간하겠다는 뜻입니다.

[img2]

저의 새로운 명함에 대하여 몇 마디 덧붙여야 되겠습니다. 명함 전체의 디자인을 맡아준 사사람은 [명로진인디반 3기] 및 [임종진사진반 1기]의 현역 수강생인 이정민 님입니다. [마운틴북스]의 로고타입 디자이너는 외주 제작과정을 통해서 구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눈에 익은 [심산스쿨]의 로고타입 디자인은? 역시 이정민 님이 수 년 전에 만들어준 작품입니다. 이렇게 멋진 로고타입과 새로운 명함을 만들어준 이정민 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에 대해서도 조금 더 말씀 올리렵니다. 이 역저의 저자이신 이용대 선생님은 저의 은사이십니다. 제게 산과 산서의 세계에 대하여 눈을 뜨게 해주신 분입니다. 현재 코오롱등산학교의 교장으로 재직 중이신데, 제가 아는 한 ‘가장 열심히 공부하는 산악인’이십니다. 올해로 칠순을 넘기셨는데 아직도 북한산의 모든 암벽루트를 선등(!)하는 현역 클라이머이기도 하고요. 은사의 역저 뒷면에 제가 짤막한 글을 써붙였습니다. 결코 추천사가 아닙니다. 언젠가 다른 글에서도 밝혔듯 ‘추천사’란 손윗 사람이 손아래 사람에게 써주는 글입니다. 그러므로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아마도 ‘발문’ 정도가 될 것입니다. 그 발문의 전문을 아래에 덧붙입니다.

이제 우리도 명실공히 산악 강국의 대열에 오르게 되었다

각종 등반 기록들만을 놓고 볼때 우리는 이미 오래 전에 세계적인 산악 강국에 꼽혔어야 마땅했다. 하지만 현실은 부끄럽게도 그렇지 못했다. 이른바 산악문학 혹은 산악문화가 너무도 척박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산악문화에서 그 주춧돌에 해당되는 것이 바로 세계 등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이다. 한글로 쓰인 등산사를 단 한 권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은 낯 뜨겁기 짝이 없는 일이었다. 이제 이용대의 역저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를 세상에 내놓음으로써 우리도 명실공히 세계적인 산악 강국의 대열에 올라서게 되었다. 실로 한국산악계 전체가 경하해야할 쾌거가 아닐 수 없다.

-심산(심산스쿨 대표, 마운틴북스 편집인)

[img3]

댓글 '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11 2024년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4-03-31 163
510 5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개시 file 심산 2023-04-02 171
509 1997년작 [비트]를 다시 보다 + 3 file 심산 2024-03-08 192
508 1999년작 [태양은 없다]를 다시 보다 + 1 file 심산 2024-03-16 194
507 2023년 9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08-06 195
506 2024년 1월 개강 워크숍 수강신청 접수시작 file 심산 2023-12-03 234
505 희망 없는 새해에도 삶은 계속됩니다 file 심산 2023-01-11 243
504 [비트] [태양은 없다] 2024년 3월 재개봉 확정 + 4 file 심산 2024-02-08 318
503 2022년이 저물어가고 2023년이 다가옵니다 + 1 file 심산 2022-12-02 326
502 심산스쿨 시나리오워크숍 수강신청 안내 + 1 file 심산 2022-09-18 428
501 심산스쿨 심산반 50기 개강을 자축하며 + 5 file 심산 2023-05-15 454
500 올여름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 2 file 심산 2022-05-08 511
499 베일에 싸인 신인작가 김정연을 만나다 + 4 file 심산 2023-09-01 556
498 차기 워크숍은 2022년 10월에 개강예정입니다 + 1 file 심산 2022-06-07 563
497 한국영화 반독과점 영대위 토론회 + 2 file 심산 2018-06-23 566
496 심산 출연 [세계테마기행] 방영 안내 + 10 file 심산 2023-06-29 570
495 새해에는 새해의 태양이 떠오를 테지요 file 심산 2019-12-31 577
494 한 해가 저물고 또 다른 해가 떠오르고 + 1 file 심산 2017-12-25 604
493 다음 워크숍은 2022년 1월 둘째주에 열립니다 + 1 file 심산 2021-10-18 615
492 올여름에는 [심산반 47기]만 진행합니다 + 1 file 심산 2021-07-10 616